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k-패스 지원 대상 및 이용방법, 지급 기준과 적립률을 알아보아요.

by bywithmoon 2025. 1. 4.
반응형

 

k-패스란?

 

기본 조형인 사각형은 대중교통 대표 수단인 버스, 지하철과 지불수단인 카드를 형상화하였으며 “K” 와 “스“ 끝을 둥글린 라인으로 연결, 전국의 지자체를 하나로 묶어 대한민국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응원하는 의지를 표현하였습니다.

 

지원대상은?

 

K-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만 19세 이상 주민

 

적립수단은?

 

버스(광역버스 포함), 도시·광역철도(신분당선, GTX 등 포함), 공항철도 등

 

  • 다만, 시외(고속)버스, KTX, SRT, 공항버스 등 별도로 발권받아 탑승가능하고, 타 교통수단과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지급기준은?

 

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

  • 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 이용 시에도 지급됩니다.
  • 1일 최대 2회까지만 적립됩니다.
  • 이용횟수 기준 : 30분 이내 승하차 시 이용횟수 1회로 취급됩니다.

일 2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2회까지 지급
월 60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지급

월 대중교통 이용금액 20만원 초과 시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 50%만 적용하여 지급(경기,인천은 해당하지 않음)

적립률은?

 

  • 일반20% 적립
  • 청년만19 ~ 34세는 30% 적립
  • 저소득53% 적립
청년[청년기본법]에 따른 만19세~34세
저소득층[기초생활보장법]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
※저소득 적립률은 앱이나 홈페이지에 로그인 후 [MY > 저소득정보] 화면에서 신청하실 수 있으며, 신청결과 저소득 대상자 여부 “정상”인 경우에만 적용됩니다.
k-패스 참여지역은?

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.

  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이용방법은?
  1.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
    • 알뜰교통카드 적립: 2024. 4. 30일 이용내역까지
    • 전환 기간: 2024. 6. 30일까지 홈페이지에서 (전환일부터 K-패스 환급 적용)
    • K-패스 적용: 2024. 5. 1(수) 이용내역부터
      (24.5.1(수) 이후 전환 시 전환일부터)
  2.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 K-패스 회원전환 시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와 계정 그대로 K-패스에서 이용 가능합니다.4월 30일까지 회원전환을 하지 않는 경우 회원 전환일 또는 K-패스 신규 가입일부터 혜택이 적용됩니다.
  3. K-패스 카드 신규 가입
    1. K-패스 카드 발급 (알뜰교통카드도 회원가입이 가능합니다.)
    2. K-패스 회원가입
    3. K-패스 교통카드로 전국 대중교통 이용 시 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적립 및 지급
회원가입절차는?

 

  1. 회원가입 화면 진입 (홈페이지 또는 앱)
  2. 발급된 카드의 카드번호 15~16자리 입력 후, [유효성 체크] 클릭
  3. 필수약관 모두 동의 시 본인명의 휴대폰 또는 공동인증서로 본인인증 진행
  4. 주민등록번호(외국인등록번호) 입력 후 주소지 검증 실시
  5. 거소사실여부 확인 불가 시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1개월 이내 발급받은 주민등록등(초)본/국내 거소 사실 증명서(외국인)를 MY > 나의지자체 메뉴에 등록해주세요.
  6. 필수 회원정보 입력 후 가입 완료

 

문의사항은 아래의 전화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
 

반응형